티스토리 뷰

목차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분들이라면 교통비도 만만치 않게 들어갈 텐데요. 1월 27일부터 시작된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실물카드의 경우 웃돈이 붙어 거래되기도 했다는데요.

     

    기후동행카드의 신청방법과 구매처, 이용/제외 노선 및 경기도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서 바로 신청🔻해 혜택 받아보세요.

     

     

     

     

    기후동행카드 혜택

    📌 기후동행카드 금액 : 62,000원(기본) / 65,000원(따릉이 포함)

    📌 시범 사업기간 : 1월 27일(토) ~ 6월 30일(일)

    📌 본 사업 운영예정 : 24년 7월부터

     

    서울시에서는 서울 내 대중교통의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파격적인 제도를 내놓았는데요. 월 6만 원 초반대의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면 지하철, 버스는 물론 따릉이 등의 대중교통까지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신청

     

    단 한 번의 요금지급으로 한 달간 다양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어 좋은데요. 일일이 요금 충전을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

     

    오는 6월 말일까지 시범사업으로 운영된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바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7월부터 본 사업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하니 걱정 없이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신청 및 구매방법

     

    누적 판매량 및 신청량이 30만 장이 넘어간 기후동행카드를 어떻게 신청하면 될까요? 모바일 카드의 경우와 실물카드의 경우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모바일 카드 : 모바일 티머니 앱을 통해 신청. 기후동행카드 다운로드 및 충전 후 사용

    ✔️ 실물 카드 : 서울교통공사(1~8호선) 고객안전실 및 역사 인근 편의점 구매 > QR코드 등록 > 무인충전기 충전 후 사용

     

    모바일 카드의 경우는 티머니 어플을 이용하면 간편한데요. 기후동행카드를 발급받은 후 충전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ios 기반의 휴대전화의 경우 모바일카드가 불가합니다. 따라서 아이폰 이용자라면 실물카드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기후동행카드신청

     

    실물 카드의 경우 1~8호선은 고객안전실에서, 9호선·우이신설선·신림선은 역사 주변 편의점에서 구매(3,000원)할 수 있습니다. 구매 후 카드 뒷면의 QR 코드를 티머니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한 뒤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하면 됩니다.

     

    실물 카드의 경우 반드시 등록해야 하고, 만약 등록하지 않으면 환불 및 따릉이 이용이 불가하니 꼭 등록해 주세요.

     

    📌 사용 시작날짜 : 충전날로부터 5일 이내 시작날짜 선택 가능. 30일 지난 뒤 자동 만료

     

    이용 범위 및 제외노선

    현재 내가 있는 곳이나 가고자 하는 곳의 역명을 검색하면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검색해 볼 수 있으니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이용 가능노선>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
    1

    서울지역 지하철
    ✔️ (1호선) 온수/금천구청 ~ 도봉산
    ✔️ (3호선) 지축 ~ 오금
    ✔️ (5호선) 방화 ~ 강일/마천
    ✔️ (7호선) 온수 ~ 장암
    ✔️ (9호선) 전구간
    ✔️ (신림선) 전구간
    ✔️ (경의중앙선) 수색 ~ 양원/서울역
    ✔️ (수인분당선) 청량리 ~ 복정
    ✔️ (2호선) 전구간
    ✔️ (4호선) 남태령 ~ 당고개
    ✔️ (6호선) 전구간
    ✔️ (8호선) 전구간
    ✔️ (우이신설선) 전구간
    ✔️ (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역
    ✔️ (경춘선) 청량리 ~ 신내
    2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3 따릉이

     

    ✔️ 이용 제외노선 : 신분당선, 서울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버스

     

    서울시 면허 버스라면 그 외에서 승차하여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지하철은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하고, 그 외 역에서 하차하면 사용불가하니 참고하셔야 하겠습니다.

     

    ✔️ 예외 : 4호선(별내별가람~진접),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김포골드라인(전구간), 진접선(전구간)의 경우 하차는 가능하지만 승차는 불가능합니다.

     

    사용방법

    1. 지하철&버스 이용법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은 어렵지 않은데요. 지하철 또는 버스 승차 시에 모바일카드 혹은 실물카드를 단말기에 태그 한 뒤 승·하차하시면 되겠습니다. 단 사용을 위해서는 NFC 설정이 필수입니다.

     

    또한 하차 미태그가 2회 누적되면, 직전 승차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사용이 정지되니 하차 시에 태그 하는 것을 잊지 말아 주세요.

     

    2. 따릉이 이용법

    ① 기후동행카드 구매

    ② 티머니 GO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③ 카드번호 등록

    ④ 어플 내 '자전거' 탭

    ⑤ 1시간 이용권 생성

     

    기후동행카드신청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해 따릉이를 사용하려면 '티머니 GO'앱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어플에 기후동행카드의 번호를 등록하면 사용 기한 동안 따릉이의 1시간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실물카드를 이용하는 분이라면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된 카드만 따릉이 이용권이 생성되니 참고해 주세요.

     

    경기도 사용법

     

    서울시 면허를 가진 버스라면, 서울시 지역을 경유해 경기도로 운행할 때 서울시 외의 지역에서 승하차가 가능합니다. 서울시 면허 버스는 파란색, 초록색버스인데요. 다음과 같이 구별하면 편리합니다.

     

    ✔️ 서울시 면허 파란 버스 : 3자리 노선번호 간선 / 파란색 심야 / 노선번호 02,04,05 동행버스

    ✔️ 서울시 면허 초록 버스 : 4자리 노선번호 / 서울마을버스 및 순환버스

     

    단, 빨간색 광역버스의 경우 서울시 내에서도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경기도에서도 불가합니다.

     

    기후동행카드신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