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함께하는소소한마음

    함소마음입니다.

     

    다사다난했던 2021년도 어느덧 저물어가고

    새롭게 밝아오는 2022년 임인년 검은호랑이의 해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데요 

    코로나 시국이기는 하지만 새로운 한해의 안녕을 바라며 해돋이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예전처럼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거나 행사를 하는것은 어렵겠지만

    어딘가로 훌쩍 떠나 새해의 첫 일출을 보고 싶은 마음만은 누구나 같을 거라 생각해요.

    그래서 오늘은 해돋이 명소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가족이나 지인 또는 같은 장소의 모르는 타인과 함께 보냈던 과거의 떠들썩했던 해돋이들과 달리

    고요하고 조용하지만 마음만은 뜨겁게 떠오르는 해를 바라봐 보는 것은 어떨까요?

     

     

    보통의 새해라면 정동진, 경포대, 주문진, 호미곶, 성산일출봉 등등 전국 각지의

    명소들에서 활기차게 해돋이를 했을텐데요

    2022년 전국 해돋이 명소들은 코로나로 인해 출입 통제가 되고 있다니 하니

    아쉽지만 이런 곳으로 향하는 발걸음은 돌리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서울 근교에 위치한 가까운 곳에서 멀리서나마 한산하게 해돋이

    감상할 수는 있을텐데 어떤 곳들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먼저 인천 중구에 위치한 선녀바위해수욕장입니다.

    평소에 비교적 조용한 곳으로 해돋이를 하기에 안성맞춤인데요 

    특히나 석양이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곳에서 올해 마지막 해넘이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인천에 위치한 곳 한가지 더 알려드릴텐데요

    국내 백패킹 명소로 유명한 인천 덕적면 굴업도가 바로 그 곳입니다.

    최근 섬의 일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예고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

    한번 본 사람에게 잊지 못할 일몰의 기억을 남겨준다고 하니 일출 또한 아름답겠죠?

     

    다음으로는 서울 강북구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에 있는 북한산 백운대입니다.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백운대는 사계절 내내 등산객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 곳으로 유명한데

    일출 풍경 또한 장관이라 보는 이들을 가슴 설레게 한답니다.

     

     

    이외에도 종로구 인왕산, 관악산 서쪽 끝 호암산, 성북구 개운산, 하늘공원 등

    가깝지만 많은 곳에서 해돋이를 볼 수 있을텐데요

    출입은 통제된 곳이 많으니 이곳들에서 이루어질 예정인 생중계를 통해

    새해 해돋이를 즐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새해를 앞두고 세밑한파가 기승을 부린다고 하는데

    중부와 일부 남부 내륙에 한파특보가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강추위 속에서도 맑은 날씨 덕분에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해넘이를 할 수 있다고 하니 독도(5시 5분), 서울(5시 23분) 등 각 지역 시간에 맞춰

    일몰을 감상해보는 것도 2021년을 마무리하는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또한 1월 1일 새해 첫날에도 맑은 날씨가 예상되어 

    해돋이를 보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을텐데요 

    서울에서는 오전 7시 47분에 새해의 붉은 해가 떠오른다고 하니

    직접 가지 못하시는 분들은 온라인 생중계로나마 좋은 기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아울러 매해 12월 31일 밤에 진행되던 제야의 종 타종행사 소식도 궁금하신 분들 많을텐데요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코로나로 인해 행사가 취소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비대면 생중계를 하거나 녹화 방송으로 진행한다고 이 점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다가오는 2022년에는 조금 더 밝고 희망찬 소식들이 많이 들려와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한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