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함께하는 소소한 마음
함소마음입니다.
무더운 여름 잘 보내고 계신가요?
요즘 같은 날이면 에어컨 없이는 지내지 못할 것만 같은데
그렇다고 마냥 세게 켜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이유가 있죠.
그것은 바로 냉방병!
여름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대표질병 냉방병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정의와 원인 : 냉방병이란 쉽게 말해서, 여름철에 밀폐된 공간에서 지속해서 냉방을 할 경우 가벼운 감기 몸살 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장시간 이루어지는 실내 냉방의 환경에서 사람의 몸이 기온차에 쉽사리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어떤 특정한 질병을 가리키는 것이라기 보다는 여러 질환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질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현대 사회에서는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기의 발달과 보급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냉방병의 발생빈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여러 원인 중 몇 가지를 소개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큰 폭으로 자주 이루어지는 기온차로 인한 면역력 및 신진대사의 저하, 오염된 에어컨 냉각수나 공기로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인 레지오넬라증,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떨어진 실내 환기 횟수에 의한 밀폐 건물의 유해물질과 화학성분의 축적 등이 그 원인입니다.
2. 증상
1) 호흡기 증상 - 두통,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의 감기와 비슷한 호흡기질환이 대표적이며 그와 더불어 몸이 쳐지는 무기력감과 나른함과 피로감 같은 증상도 보입니다. 이로 인해 관절이 무겁게 느껴지는 느낌 또한 동반될 수 있으며 손발이 부을 수도 있고 이런 증상들이 심해질 경우에는 통증까지 유발 될 수 있습니다.
2) 위장관 증상 - 하복부의 더부룩함과 소화 불량으로 인한 불쾌감이 있으며 설사 또한 발생할 수 있어, 여름철에 발생하는 또 다른 대표 질환인 장염과 혼동할 수 있으나 냉방병을 의심해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3) 만성 질환의 악화 - 고혈압이나 당뇨병 또는 관절염 등의 다른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일반인보다 낮은 면역력을 가지고 있어 평소에 앓던 만성 질환이 더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4) 여성 질환 - 특히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에는 생리통이 심해질 수도 있으며 주기가 불규칙 해질 수도 있습니다.
3. 진단 : 위에 기술한 것과 같은 여러 증상들이 나타나며 장시간 냉방 환경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냉방병으로 진단 내릴 수 있습니다. 만약 질환에 의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졌는데도 증상이 심해지거나 오래도록 지속 된다면 레지오넬라증에 걸린 것일 수 있어 소변검사나 혈청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4. 예방법
1) 실내 냉방을 할 때에는 지나치게 춥게 느껴질 정도로 하는 것은 피하며 직접적으로 에어컨 바람을 쐬지 않게 에어컨 날개를 사람이 없는 방향으로 조정하여야 합니다.
2) 차가운 바람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긴 소매 덧옷을 입거나 담요로 덮고 있는 것 또한 좋습니다.
3) 에어컨을 가동 시 계속하여 사용하지 말고 정지시간을 가지며, 적어도 몇시간에 한번씩 5분 이상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에어컨의 냉각수나 공기 오염을 막기 위해 필터 청소를 2주에 한번씩은 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5) 면역력이 떨어지면 쉽게 걸릴 수 있으므로 매일 가볍게 운동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되며 과로하거나 수면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6) 실내에서도 수시로 맨손 체조와 스트레칭 등을 하여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하며 같은 자세로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것 또한 피해야 합니다.
7) 수면 시 얇은 이불을 이용해서라도 배를 덮어 주는 것이 좋으며, 덥다고 너무 찬 음료나 음식만 찾는다면 냉방병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8) 실내 적정 온도는 22~26℃ 로 계속해서 낮은 온도로 에어컨을 틀어두기보다는 적당히 시원해 졌을 때에는 서서히 온도를 올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5. 생활가이드 : 냉방병에 걸려서 치료 받는 것보다는 아예 처음부터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지나친 냉방은 피하고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가벼운 운동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차가운 음식을 많이 먹게 되므로 따뜻한 차나 물 같은 것을 수시로 마셔서 따뜻한 몸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너무 더운 날씨에 시원한 에어컨이 틀어진 실내와 차가운 음식만 찾다
나도 모르는 새에 걸린 냉방병 때문에 고생한 적 있으신가요?
올해에는 내 몸에 조금 더 신경써서 냉방병에 걸리지 않고
모두모두 건강한 여름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큰시큰 찌릿찌릿 잇몸질환 예방엔 스케일링 하세요 (0) | 2022.09.30 |
---|---|
갑상선암의 치료법과 생활 가이드 (0) | 2022.09.29 |
한국인의 암 '갑상선암' 초기증상 체크해보세요 (0) | 2022.09.29 |
소아의 구강악습관이란 무엇일까 (0) | 2022.09.29 |
구강관리의 기본 - 칫솔질 방법과 종류 (0) | 2022.09.29 |